리눅스 LVM 삭제 본문
반응형
리눅스 시스템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LVM(Logical Volume Manager)을 안전하게 삭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특히,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합니다:
- 마운트 해제 후 디스크 초기화
- 새 디스크로 교체 전 정리
- 시스템 정리 작업
1단계: 마운트 상태 확인
가장 먼저 삭제하려는 LVM이 현재 마운트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df -hT
예를 들어 /data 경로가 /dev/mapper/vg_data-lv_data에 마운트되어 있다면, 해당 LVM을 언마운트한 뒤 삭제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.
2단계: LVM 언마운트
umount /data
만약 언마운트가 실패한다면 해당 경로를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해야 합니다.
lsof | grep /data
# 또는
fuser -vm /data
필요하다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한 뒤 다시 umount 명령을 실행합니다.
3단계: /etc/fstab 자동 마운트 제거
자동으로 마운트되는 걸 방지하려면 /etc/fstab 파일에서도 해당 항목을 지우거나 주석 처리해 주세요.
vi /etc/fstab
/data 관련 라인을 찾은 뒤 #로 주석 처리하거나 삭제합니다.
4단계: 논리 볼륨(Logical Volume) 삭제
이제 실제 LVM 삭제 작업에 들어갑니다.
lvremove /dev/vg_data/lv_data
삭제 여부를 물어보면 y를 입력합니다.
5단계: 볼륨 그룹(Volume Group) 삭제
논리 볼륨을 지웠다면, 볼륨 그룹도 제거할 수 있습니다.
vgremove vg_data
6단계: 물리 볼륨(Physical Volume) 삭제
마지막으로 해당 LVM에 사용된 물리 디스크를 LVM에서 해제합니다.
pvremove /dev/sdb1
디스크 명칭은 lsblk, fdisk -l, pvs 등으로 확인 가능합니다.
정리
umount /data
vi /etc/fstab # 자동 마운트 제거
lvremove /dev/vg_data/lv_data
vgremove vg_data
pvremove /dev/sdb1
명령어 | 설명 |
lsblk | 디스크/마운트 확인 |
lvs | 논리 볼륨 목록 |
vgs | 볼륨 그룹 목록 |
pvs | 물리 볼륨 목록 |
반응형
'Linux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C2 디스크 연결 (0) | 2024.09.09 |
---|---|
리눅스 systemd-journald 보관주기 변경 (0) | 2024.05.27 |
리눅스 페이지 캐시 (0) | 2023.10.27 |
리눅스 디스크 크기 수정 후 VG 볼륨 증설 (0) | 2023.09.05 |
리눅스 기존의 볼륨 그룹(VG)에 용량 추가 (0) | 2023.09.05 |
Comments